사업영역

문화재 보존사업

Culture HeritageConservation science

문화재 보존 사업

우리 문화유산의 생명연장을 위해 다양하고 과학적인 보존처리를 실시하여 우리 문화재 지킴이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인류의 문화유산은 과거로부터 현대와 미래를 연결시키는 매개체 입니다. 따라서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문화유산의 영원한 상속자가 아니라 관리자의 입장으로 다음세대에 계승시켜야 할 사명을 갖고 문화재를 원형 그대로 보존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합니다.

인류의 문화유산은 과거로부터 현대와 미래를 연결시키는 매개체 입니다. 따라서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문화유산의 영원한 상속자가 아니라 관리자의 입장으로 다음세대에 계승시켜야 할 사명을 갖고 문화재를 원형 그대로 보존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합니다. 그러나 소중한 우리의 문화유산은 세월의 흐름과 함께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원래의 형태를 잃어갑니다. 이에 팜클은 우리 문화유산의 생명연장을 위해 다양하고 과학적인 보존처리를 실시하여 우리 문화재 지킴이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종합적 유해생물방제(IPM)

IPM(Intergrated Pest Management) 이란, 종합해충관리 프로그램입니다. 현재 발생된 해충이나 앞으로 발생 가능한 해충에 의한 피해를 예방합니다. IPM은 전체 공간에 일시적으로 살충제를 도포하거나 훈증소독을 실시함으로써 해충을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해충의 침입경로, 장소별로 발견되는 해충 종류, 수량 등을 파악함으로써 부분적으로 적절한 방제 방법이 가능하도록 연구합니다.

IPM 프로그램

  • 조사
    1. 환경조사
    2. 해충조사
    3. 서식지 파악
    4. 침입경로 조사
  • 위생적관리 청소관리, 정리정돈, 유기물 처리 등 파악
  • 정기적모니터링 해충발생이 의심 되는 곳을 중심으로 모니터링 · 해충오염 분포도 작성
  • 해충방제 방법 수립 환경적 방제 전략(위해 요소 파악 및 방안 제시) · 물리적 방제 전략(틈새, 조명, 방충망, 녹지파악) · 화학적 방제 전략 (용량, 용법 등 최소량적합 투여)
  • 기록 · 보관 결과수치를 통계 정리

훈증소독 문화재는 보존환경 요인에 의하여 해충과 미생물 등의 생물피해로 손상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합니다. 특히 목조, 서화, 복식 등과 같은 유기질 문화재에 대한 생물피해는 가장 큰 손상을 입히며, 손상이 시작된 후에는 원형 복원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훈증소독과 같은 철저한 사전 예방으로 안전에 만전을 기해야 합니다. 주요실적보기

방충제 · 방염제 도포 목조문화재는 해충, 미생물의 피해를 받기 쉬운 유기질로서 야외에 노출되어 환경적 요인이 더해져 훼손속도가 더욱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훼손으로부터 보존수명을 길게 하려면 방충처리가 필요합니다. 또한 방충처리 후 화재 예방을 위한 방염처리를 적용하면 목조문화재 보존에 더욱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주요실적보기

유구보존 이전 · 복원 유구 이전 · 복원은 발굴조사를 통해 발견된 유구를 원상태 그대로 제3의 장소로 이전하여 복원함으로써 그 형태를 보존하는 것입니다. 발굴에 의해 지상에 노출된 유구들은 환경변화, 외부충격, 생물번식 등으로 훼손되기 쉬우나 이전 · 복원을 통하여 발굴 당시의 현장감을 재현함으로써 전시 및 교육의 효과를 제공합니다. 주요실적보기

보존처리 - 석조 석조문화재는 오랜 시간에 거쳐 풍화와 대기오염 등에 의해 심하게 열화되어 표면이 박리 · 박락되었으며 석재 표면에는 이끼류, 지의류, 수목 등을 비롯한 생물에 의한 피해 등 자연적 손상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물리적 · 화학적 손상요인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과학적 조사를 통해 석조문화재의 재질을 파악하고, 구조적 안전성을 진단하여 대상의 현상태를 파악한 후 석조문화재가 최소한으로 손상을 받고 최대한 안정될 수 있도록 보존처리를 실시합니다. 주요실적보기

보존처리 - 금속 금속은 공기중의 산소(O2)와 결합하여 가공되기 전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려는 자연스러운 성질 때문에 쉽게 부식됩니다. 이러한 부식을 방지하고, 부식되는 속도를 지연시키기 위한 물리적, 화학적인 방법으로 보존처리를 진행합니다. 주요실적보기

보존처리 - 소조상, 벽화 오랜 시간의 경과로 인해 채색층의 아교가 노화되고, 일교차와 연교차에 따른 습도차로 바탕층과 채색층이 팽윤 수축을 반복하면서 안료가 박리, 박락됩니다. 탈락된 안료를 고착하고, 표면처리를 진행하여 보존처리를 완료합니다. 주요실적보기

보존처리 - 목조 목재의 주성분은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으로 쉽게 해충피해를 받으며 수분변화에 따라 수축팽창하여 강도가 약해집니다. 따라서 해충의 피해로부터 보호하고, 열화나 노화를 지연시키는 보존처리를 진행합니다. 주요실적보기

보존처리 - 지류 식물섬유인 셀룰로오스가 주성분인 지류는 이를 영양분 으로 삼는 해충과 미생물에 의해 크게 손상받으며 또한 물리적 힘에 의해 쉽게 훼손되고 산에 의해 가수분해가 더욱 촉진됩니다. 안료 안정화, 표접, 구배접지 제거, 결손부 메움, 배접, 색맞춤의 순서로 보존처리를 진행합니다. 주요실적보기

유물복제 유물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열화와 손상이 진행되어 복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제작 당시의 환경, 여건, 제작기술과 도구, 재료등을 연구하고 현대기술을 접목하여 유물 복제를 진행합니다. 주요실적보기

흰개미방제서비스

Termite Control

흰개미방제 서비스

흰개미방제서비스는 국내 어느곳에서도 해결해 줄 수 없었던 흰개미 문제를 근본적인 원인부터 파악하여 해결하는 서비스입니다.

정밀진단, 과학적 방제, 정기적 관리로 이어지는 목조건 축물의 흰개미 방제서비스는 급격히 확산되고 있는 흰개미 피해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있습니다. 국내 어느곳에서도 해결해 줄 수 없었던 흰개미 문제를 근원적으로 속 시원하게 해결해주는 흰개미 방제 올인원 서비스를 소개합니다. 흰개미사이트 바로가기

흰개미방제 서비스 프로세스

STEP 01.육안조사 STEP 02.시설진단 STEP 03.정밀진단 STEP 04.흰개미 군체 제거시스템 설치 STEP 05.흰개미 토양처리 STEP 06.모니터링 및 방제 STEP 07.결과보고서 제공

STEP 01.육안조사 STEP 02.시설진단 STEP 03.정밀진단 STEP 04.흰개미 군체 제거시스템 설치 STEP 05.흰개미 토양처리 STEP 06.모니터링 및 방제 STEP 07.결과보고서 제공

  • 육안조사 나무기둥, 목재표면, 흙 길, 주변 환경 등 종합적인 현상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흰개미의 흔적을 살펴봄
  • 시설진단 흰개미의 움직임을 감지해내는 터마트랙은 육안조사 시 흰개미의 피해나 서식이 의심되나 직접 뜯어서 확인할 수 있는 없는 장소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됨. 터마트랙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나무기둥 속, 콘크리트 속, 장판 및, 벽지 사이 틈에서 흰개미의 서식여부를 정확하게 찾아냄.
  • 정밀조사 터마트랙에 움직임이 감지되었으나 흰개미라고 판단하기 어려울 경우 흙 길 또는 훼손된 목재 사이공간에 내시경 카메라를 삽입하여 흰개미 여부를 직접 확인 함. 현장에서 발견된 흰개미는 USB 현미경으로 확대촬영 및 영상 기록이 가능함. 집안, 밖을 모두 돌아다니면서 빈틈없이 조사함.
  • 흰개미 군체제거시스템 설치 목조건물 주변에 흰개미 군체제거시스템을 설치하여 대상건물에 흰개미의 유입여부와 경로를 확인
  • 흰개미토양처리 목조건물 주변 토양에 흰개미약제를 주입하여 땅 속을 통해 건물로 유입되는 흰개미를 방제
  • 모니터링 및 방제 군체제거시스템을 설치한 후 일정 기간 동안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하여 흰개미의 유입이 확인되면 군체제거시스템 내부에 독먹이를 설치하여 흰개미를 방제
  • 결과보고서 제공 흰개미 방제와 모니터링 결과를 종합하여 결과보고서를 제공

국가조달사업

Governmentprocurement projects

국가조달 사업

국가조달시장 1위를 달성하고 있는 팜클은 항상 획기적이며 안전한 제품 개발과 공급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파리, 모기, 바퀴벌레 등의 위생해충 및 바이러스, 세균에 의한 감염병 (말라리아, 일본뇌염, 지카바이러스, 메르스, 결핵 등) 예방을 위해 전국의 보건소는 매년 방역, 소독사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방역활동 방법은 다음과 같으며, 국가조달시장 1위를 달성하고 있는 팜클은 항상 새롭고, 안전한 제품 개발과 공급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 유충 구제 고인물/하천/정화조/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유충을 성충이 되기 전에 치사하는 방법으로 팜클은 친환경적이며, 타 수생물에 무해한 유충구제 제품을 개발, 생산하여 전국 보건소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 분무, 연막 위생해충 개체수를 줄이기 위해 약제를 물 또는 희석제와 희석하여 해충이 주로 출몰하는 지역에 약제를 분사하여 치사하는 방법으로 팜클은 WHO(세계보건기구), EPA(미국 환경보호청), KFDA(식품의약 품안전처)의 허가를 받은 성분을 이용하여 안전하고 뛰어난 효과의 약제를 개발, 생산하여 전국 보건소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 위생해충 퇴치기설치 살충제를 사용하기 어려운 지역(식수원 보호구역, 약품처리 곤란 지역, 공원 등)에 위생해충이 좋아하는 빛을 이용한 물리적 포충장비를 설치하여 공급하고 있습니다. 특히 팜클은 위생해충퇴치기 분야 국내 1위 업체로 다양하고 효과적인 제품의 개발, 설치, A/S 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친환경 퇴치기 사업 분야의 선두주자로 불리고 있습니다.

방역업체

Pest Control Operator

방역업체

팜클은 아파트, 빌딩 등 대형 건물과 방제 서비스 업체에 다양하고 편리한 사용법의 우수한 제품을 개발, 공급하고 있습니다.

아파트, 빌딩 등 대형 건물과 법정의무소독 시설(급식소, 기숙사, 병원 등)에 대한 소독, 방역 활동을 실시하는 방제 서비스 업체에 다양하고 편리한 사용법의 우수한 제품을 개발, 공급하고 있습니다. 주로 대형건물의 지하 정화조에는 연 중 내내 따뜻한 온도로 다양한 위생해충이 항상 서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추운 겨울철에도 해충의 출몰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모기 유충과 성충 그리고 건물 내에 서식하는 바퀴벌레와 개미의 피해 사례(식중독, 아토피, 알레르기 질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팜클은 전문 서비스 업체에 사용 편의성, 대용량, 고효능의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유통채널

Home Care(pesticide, germicide)

유통채널

잡스의 가정용 해충구제 제품은 약국, 대형마트, 온라인 등 유통채널을 통해 유해해충으로부터 가정을 더욱 안전하게 지킬 수 있도록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해충방제를 위한 전문 서비스 업체를 이용하기에는 비용과 시간의 문제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팜클은 소비자들도 쉽게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는 DIY제품을 개발하여 다양한 채널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팜클은 시중의 유사품을 복제하는 것이 아닌 R&D센터를 보유한 국내 토종 1위 기업으로 차별화된 제품개발을 위해 선도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국내 최초 허가 살서제 '스톰' 국내 최초 모기, 털진드기, 작은소참진드기(살인진드기) 동시 기피제 '아웃도어미스트' 전국을 공포에 떨게 했던 메르스 예방의 선두제품 '릴라이온버콘' 국내 최초 열과 전기가 필요없는 휴대용 기피제 '엔젤넷' 국민 개미약으로 불리는 '개미듀얼베이트' 위와 같이 팜클은 차별적인 제품으로 고객들에게 널리 알려지고 있습니다. 또한 지속적으로 독일 바스프(BASF), 머크(MERCK), 일본 스미토모(SUMITOMO) 등 글로벌 원료사와 독점 공급을 통해 고순도의 오리지널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팜클의 제품은 대형마트, 자사몰인 '잡스몰', 온라인쇼핑몰, 전국약국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유통하고 있습니다.